본문 바로가기

리뷰/책

일분어(一分語)- 이태준

십분심사일분어(十分心思一分語, 마음에 품은 뜻은 많으나 말로는 그 십분의 일밖에 표현 못한다)란, 품은 사랑은 가슴이 벅차건만 다 말 못하는 정경을 가리킴인 듯하다.

 이렇듯 다 말 못 하는 사정은 남녀간 정한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체 표현이 모두 그렇지 않은가 느껴진다. 부끄러워서가 아니라 뜻을 세울 수가 없고, 말을 붙일 수가 없어 꼼짝 못 하는 수가 얼마든지 있다.

 나는 문갑 위에 조선조 때 제기 하나를 놓고 무시로 바라본다. 그리 오랜 것은 아니로되, 거미줄처럼 금간 틈틈이 옛 사람들의 생활의 때가 푹 배어 있다. 날카롭게 어여낸 여덞 모의 굽이 우뚝 자리잡은 위에 엷고, 우긋하고, 매끄럽게 연잎처럼 자연스럽게 변두리가 훨쩍 피인 그릇이다. 고려자기 같은 비취빛을 엷게 띠었는데 그 맑음, 담수에서 자란 고기 같고 그 넓음, 하늘이 온통 내려 앉아도 능히 다 담을 듯싶다. 그리고 고요하다.

 가끔 옆에서 묻는 이가 있다. 그 그릇이 어디가 그리 좋는냐는 것이다. 나는 더러 지금 쓴 것과 같이 수사에 힘들여 설명해 본다. 해 보면 번번이 안 하니만 못하게 부족하다. 내가 이 제기에 가진 정말 좋음을 십분지 일도 건드려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더욱 그럴싸한 제환공과 어떤 노목수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한번, 환공이 당상에 앉아 글을 읽노라니 뜰아래에서 수레를 짜던 늙은 목수가 톱질을 멈추고, 읽으시는 책이 무슨 책이오니까 물었다.

 환공이 대답하기를, 옛 성인의 책이라 하니, 그럼 대감께서 읽으시는 책도 역시 옛날 어른들의 찌꺼기올시다그려 한다. 공인의 말투로 너무 무엄하여 환공이 노기를 띠고, 그게 무슨 말인가 성인의 책을 찌꺼기라 하니 찌꺼기될 연유를 들어야지 그렇지 못하면 살려두지 않으리라 하였다. 늙은 목수 자약하여 아래와 같이 아뢰었다 한다.

 저는 목수라 치목하는 예를 들어 아뢰오리다. 톱질 을 해보더라도 느리게 다리면 엇먹고 급하게 다리면 톱이 박혀 내려가질 않습니다. 그래 너무 느리지도 너무 급하지도 않게 다리는 데 묘리가 있습니다만, 그건 손이 익고 마음에 통해서 저만 알고 그렇게 할 뿐이지 말로 형용해 남에게 그대로 시킬 수는 없습니다. 아마 옛적 어른들께서도 정말 전해주고 싶은 것은 모두 이러해서 품은 채 죽은 줄 아옵니다. 그렇다면 지금 대감께서 읽으시는 책도 옛 사람의 찌꺼기쯤으로 불러 과언이 아닐까 하옵니다.

 환공이 물론 턱을 끄덕였으리라 믿거니와 설화나 문장이나 그것들이 한 묘의 경지의 것을 발표하는 기구로는 너무 무능한 것임을 요새 와 점점 절실하게 느끼는 바다. 선승들의 불립문자설(不立文字設,도란 문자나 말과 같은 표면적인 것에 매이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뜻. 이신전심과 같다)에 더욱 일깨워짐이 있다.

 

 

무서록